[Silver II] 배열 돌리기 - 17276
성능 요약
메모리: 219524 KB, 시간: 6124 ms
분류
구현
문제 설명
크기가 n x n인 2차원 정수 배열 X가 있다. (n은 홀수)
X를 45° 의 배수만큼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려고 한다. X를 시계 방향으로 45° 돌리면 아래와 같은 연산이 동시에 X에 적용되어야 한다:
- X의 주 대각선을 ((1,1), (2,2), …, (n, n)) 가운데 열 ((n+1)/2 번째 열)로 옮긴다.
- X의 가운데 열을 X의 부 대각선으로 ((n, 1), (n-1, 2), …, (1, n)) 옮긴다.
- X의 부 대각선을 X의 가운데 행 ((n+1)/2번째 행)으로 옮긴다.
- X의 가운데 행을 X의 주 대각선으로 옮긴다.
- 위 네 가지 경우 모두 원소의 기존 순서는 유지 되어야 한다.
- X의 다른 원소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.
반시계 방향으로 45° 돌리는 경우도 위와 비슷하게 정의된다.
예를 들어, 아래 그림 중앙에 5x5 배열 X가 있고, 이 배열을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45° 돌렸을 때의 결과가 우측 그리고 좌측에 있다. 굵은 원소는 주 대각선 / 중간 열 / 부 대각선 / 중간 행에 위치한 원소이다.
|
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X를 반시계 방향으로 45° 회전한 경우 | 배열 X (5x5) | X를 시계 방향으로 45° 회전한 경우 |
입력으로 2차원 배열 X와 어느 방향으로 몇 도 회전할지 입력 받아, 그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수 T가 주어진다 (1 ≤ T ≤ 10).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: 첫 줄에 배열의 크기를 나타내는 n (1 ≤ n < 500, n은 홀수) 그리고 각도 d가 주어진다. d는 0 ≤ |d| ≤ 360 을 만족하며 |d| 는 45의 배수이다. d가 양수이면 시계방향으로 d° 돌려야 하고, 음수이면 반시계방향으로 |d|° 돌려야 한다. 다음 n줄에 걸쳐 각 줄에 n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(X의 원소들을 나타낸다). 각 값은 1 이상 1,000,000 이하의 정수이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회전 연산을 마친 후 배열의 상태를 출력한다. n줄에 걸쳐 각 줄에 n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하여 출력한다.
import java.util.*;
import java.io.*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int t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 // 테스트케이스 개수
for (int i = 0; i < t; i++) {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n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 // n x n 배열의 크기
int d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 // 회전
if (d < 0) // 음수일 때 + 360 하면 시계방향 회전과 같아짐
d += 360;
int[][] arr = new int[n][n]; // 회전한 결과를 담을 배열
int[][] save = new int[n][n]; // 임시로 arr[][]의 요소를 저장해둘 배열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for (int k = 0; k < n; k++) {
arr[j][k]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save[j][k] = arr[j][k];
}
}
while (d >= 45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save[j][n / 2] = arr[j][j];
save[j][j] = arr[n / 2][j];
save[n / 2][j] = arr[n - j - 1][j];
save[n - j - 1][j] = arr[n - j - 1][n / 2];
}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System.arraycopy(save[j], 0, arr[j], 0, n); // save[][]를 arr[][]에 복사
}
d -= 45; // 45도 회전했으니 빼주기
}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for (int k = 0; k < n; k++) {
System.out.print(arr[j][k] + " ");
}
System.out.print("\n");
}
}
}
}
/* 시간초과 났음.. BufferedReader를 쓰자..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int t = sc.nextInt(); // 테스트케이스 개수
for (int i = 0; i < t; i++) {
int n = sc.nextInt(); // n x n 배열의 크기
int d = sc.nextInt(); // 회전
if (d < 0) // 음수일 때 + 360 하면 시계방향 회전과 같아짐
d += 360;
int[][] arr = new int[n][n]; // 회전한 결과를 담을 배열
int[][] save = new int[n][n]; // 임시로 arr[][]의 요소를 저장해둘 배열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for (int k = 0; k < n; k++) {
arr[j][k] = sc.nextInt();
save[j][k] = arr[j][k];
}
}
while (d >= 45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save[j][n / 2] = arr[j][j];
save[j][j] = arr[n / 2][j];
save[n / 2][j] = arr[n - j - 1][j];
save[n - j - 1][j] = arr[n - j - 1][n / 2];
}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System.arraycopy(save[j], 0, arr[j], 0, n); // save[][]를 arr[][]에 복사
}
d -= 45; // 45도 회전했으니 빼주기
}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for (int k = 0; k < n; k++) {
System.out.print(arr[j][k] + " ");
}
System.out.print("\n");
}
}
}
}
*/